
황제도 오른 ‘하늘 아래 뫼’ 태산에 올라 일출을 보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제노 문화 ② 지난, 타이안 산둥 땅으로 들어서면 핸드폰 메시지가 뜬다. 미사여구 다 필요 없다. 태산과 공자만으로도 익숙하고 친근하다. 기원전 제나라와 노나라 땅의 환영 인사다. 제나라는 쯔보, 노나라는 취푸가 도읍이었다. 지금 성의 수도는 지난(濟南)이다. 72개에 이르는 크고 작은 샘물이 솟아나기에 천성(泉城)이라 불린다. 한걸음에 천성광장에 있는 표돌천(趵突泉)으로 간다. ‘높이 뛰어오르는 샘’이라니 듣기만 해도 용솟음친다. {계속}
산동 청주青州는 고대 9주의 하나입니다. 에 의하면 태산 동쪽부터 발해에 이르는 영역을 청주라고 불렀다고 전해집니다. 이곳 청주에는 역사문화거리인 소덕고가昭德古街가 있습니다. 약 2천2백 년 전부터 조성된 거리입니다. 중국 문화부는 국가문물국을 통해 5번에 걸쳐 매번 약 10곳의 거리를 역사문화거리로 지정해 현재까지 약 50곳을 전국의 문화거리로 지정했습니다. 2009년 처음 지정될 때 북경 국자감거리国子监街, 핑야오 남대가南大街, 하얼빈 중앙대가中央大街, 소주 평강로平江路, 황산 둔계노가屯溪老街, 복주 삼방칠항三坊七巷, 청도 팔대관八大关, 해남도 해구 기루노가骑楼老街, 티베트 라싸 팔곽가八廓街와 더불어 바로 청주 소덕고가가 선정됐습니다. 거리 가운데 진교사真教寺라는 이슬람 사원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원..
2회 산둥 2 공자 향기 가득하고 태산 일출 붉디붉다 5) 지난(濟南) 싱그러운 샘 맑은 호수에 마음을 담그고 산둥 성 수도(省會) 지난에는 몇 년 전 방문한 적이 있었다. 그때 온 도시가 공사 중이었는데 지금도 도시개발로 꽤 복잡하다. 하지만 샘이 많아 샘의 도시라는 뜻으로 취엔청(泉城)이라 하니 바오투취엔(趵突泉)으로 서둘러 가지 않을 수 없다. 바오투취엔은 시내 중심에 있는 공원이자 수많은 샘들 중 하나이다. ‘뛰어올라 솟아나는 샘’이라는 뜻이니 이름도 역동적이면서도 기품이 있다. 공원 안에 들어서면 먼저 이청조(李清照)기념당과 만나게 된다. 남송 시대 유명한 여류시인이자 문학가이다.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난 그녀는 안빈낙도 같은 느낌의 이안거사(易安居士)라 불리며 과 같은 소설을 통해 규방생활의 절..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