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글자, 너무 간략해서 도무지 모르겠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강서 휘주문화 우위엔 ④ 샤오치와 리컹 밤 새워 험난한 길을 가는데 날이 밝아오면 얼마나 기쁠까? 이를 천강포효(天剛破曉)라고 한다. 당나라 말기 황소(黄巢) 민란이 전국을 휩쓸던 시기, 왕만오(汪萬五) 일가는 휘주부에서 장장 400리를 피난 내려왔다. 시냇물이 흐르고 산으로 둘러싸였으며 풀과 꽃이 만발한 들판이자 비옥한 땅이 눈 앞에 나타났다. 그렇게 짐을 풀었다. 9세기부터 정착했으니 그 어떤 천년고진 부럽지 않은 세월을 지녔다. '동이 트는 땅' 샤오치(曉起), 양생하(養生河)가 흘러 샤오촨(曉川)이라고도 불렀다. {계속}
매체기고/한국일보발품기행
2018. 12. 22. 09:47
우위엔婺源의 샤오치晓起는 국화가 많이 핀다. 유명한 황국皇菊 차 생산지이기도 하다. 상 하로 나누어진 샤오치 마을을 다 둘러보고 국화 차 한 잔 하러 찻집에 들렀다. 차도 사고 한참 놀다가 주인에게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냐고 물었더니 아들을 불러 안내를 해주도록 한다. 그래서 휘주문화가 풍부한 샤오치 마을의 지붕들을 바라볼 수 있었다. 아래에서만 보다가 높은 곳에서 비슷한 높이에서 가옥을 보니 또 다른 느낌이다.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곳곳에 복福 자가 새겨진 지붕은 아름다웠다.
여행 후기
2017. 5. 11. 14:00
최근에 올라온 글
- Total
- Today
- Yesterday